어떤 사람이 챗지피티 같은 생성형 에이아이(AI)를 잘 쓸까? 2년간 다양한 사람과 협업하며 관찰한 끝에 나름의 결론을 내렸다. 정밀한 실험을 거친 학술적 연구 결론은 아니다. 그저 주관적 경험에 따른 깃털만큼 가벼운 분석일 뿐이다.
먼저, 사회성이 높은 사람이 생성형 에이아이를 더 잘 쓴다. 여기서 말하는 사회성이란 타인을 깊이 이해하고 관계를 조율하는 능력을 뜻한다. 반면 사교성은 넓은 인간관계, 낯선 이와의 즉흥적인 상호작용을 편하게 여기는 성향이다. 흥미롭게도 사교성만 높은 사람은 생성형 에이아이를 잘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회성이 높은 사람은 대체로 인간관계에 신중하고 섬세하다. 사람과의 대화에서 상대에게 상처를 주거나, 오해받지 않으려 조심하면서 단계별로 접근한다. 그래서인지 에이아이를 대할 때도 차분하게, 자기 생각을 정리해 조금씩 풀어낸다. 마치 낯선 이와 처음 대화할 때처럼 말이다. 반면, 사교성 중심의 사람은 에이아이에도 바로 답을 달라고 직진하는 경향이 있다. 답이 기대에 못 미치면 에이아이 탓을 하기도 한다.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하는 성향이 에이아이 활용에도 나타나는 셈이다.
두번째는 직급과 관련이 있다. 대체로 고위 직급자가 하위직보다 생성형 에이아이를 잘 못 쓴다. 이유는 단순하다. 평소 자기 직원에게 대충 말해도 결과물이 나오는 환경에 익숙해서다. 하지만 에이아이는 직급을 따지지 않으며, 직원처럼 오랫동안 내 눈치를 봐오지도 않았다. 내 설명, 요청이 엉성하면 결과도 엉성하게 제시할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고위 직급자는 에이아이가 문제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 지점에서 한가지 자각이 필요하다. 그간 자신이 내린 애매한 지시를 직원이 얼마나 힘들게 해석하고 처리했는지를 돌아봐야 한다. 그간 성과가 잘 나온 것은 자신의 역량, 리더십이 좋아서가 아니라 엉성한 지시, 다시 말해 뒤죽박죽인 프롬프트(명령어)도 찰떡같이 이해하고 해결해 온 직원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요컨대, 생성형 에이아이를 쓰는 모습을 잠시 관찰하면, 구성원을 대하는 그 사람의 리더십이 그대로 보인다.
세번째는 전공과 관련된 흥미로운 경향이다. 많은 이들이 공학 전공자가 생성형 에이아이에 더 능하리라 짐작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인문사회계열, 특히 철학이나 어문학 전공자가 더 유연하게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 공학 전공자는 명확한 입력과 결과를 기대하며, 에이아이의 비결정적이고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답변을 답답해한다. 반면, 인문사회 전공자들은 반복되고 섬세한 토론, 열린 질문에 익숙하다. 에이아이를 사람처럼 대하고, 맥락을 쌓아가며 대화한다는 뜻이다.
물론, 이런 특성이 있다고 해서 사회성 높은 인문사회계열 신입사원이 생성형 에이아이를 가장 잘 쓴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실제 현장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다만 이 관찰이 의미 있는 것은 기술 활용 능력이 꼭 기술 지식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오히려 사람을 이해하고, 맥락을 읽고, 성실하게 설명하는 힘이 생성형 에이아이를 다루는 데 중요한 자산이 된다는 의미다.
생성형 에이아이 시대, 중요한 능력이 조금 달라졌다. 말을 시원시원하게 하는 것보다 섬세하게 설명하는 능력이, 단순히 관계를 넓히는 것보다 깊은 관계를 맺는 능력이 더 중요해졌다. 어쩌면 이건 사람 사이의 관계, 소통에서도 우리가 좀 더 배워야 할 부분일지도 모른다.
한겨레 / 김상균 인지과학자·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
원문 :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20595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