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HOME

닫기 닫기

산업동향

[정책 및 기술동향] 석학들 블록체인 기반 신사업 도입 촉구…“시기 놓치면 韓 디지털자산 후진국될 것”
2025.04.24

국내 석학들이 블록체인 기반 신기술 도입을 촉구했다. 가상자산과 자산 토큰화(RWA) 등 변화를 빠르게 따라가지 못하면 한국이 글로벌 경제에서 뒤쳐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24일 ‘2025 블록체인밋업콘퍼런스(BCMC)’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최·주관으로 오전 10시부터 강남 서울 섬유센터에서 개최됐다. 올해로 4회차를 맞은 BCMC는 ‘디지털 트러스트 업, 블록체인 부스트 업’을 슬로건으로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도입 대해 논의했다.

 

이날 키노트 세션에서 인호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 겸 고려대 블록체인연구소 소장은 “우리 가상자산 시장은 비교적 빠르게 시작했지만, 10년동안 정체 상태에 놓였다”면서 “새 정부가 들어서고 전향적으로 가지 않는다면 디지털자산 후진국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인 교수는 2017년 비트코인을 자금세탁에나 쓰이는 가치없는 자산이라고 했던 래리 핑크 블랙록 최고경영자(CEO)가 2023년 돌연 비트코인을 ‘국제적 자산(International asset)’이라 칭하고 2024년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한 것은 모든 자산에 대한 ‘토큰화 선언’을 한 것이라고 봤다.

 

그는 자산의 토큰화를 통해 경제성장의 속도가 빨라지고, 투자가 더욱 민주화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에 대해 “자산을 토큰화하면 모든 처리가 초단위로 변하기 때문에 돈이 흐르는 속도가 빨라지고, 경제 성장의 속도가 빨라진다는 뜻”이라며 “토큰화를 통해 원래는 살 수 없었던 100억짜리 빌딩도 1만 원을 투자해 빌딩 일부의 주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모든 투자가 글로벌화되면서, 점차 전 세계가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거래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그는 “국가마다 금융 플랫폼이 있고 규제가 있고, 여기에 상품을 올릴 때 허가가 나는 부분이 굉장히 길고 비용도 많이 드는데, 토큰화를 통해 전자지갑과 토큰으로 어느 나라에서든 거래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지금 형태의 주식 투자는 모두 사라지고, 전 세계의 주식과 채권 시장이 하나의 단일 시장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인 교수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지 못하면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이 크게 약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미국은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정의하고 블랙록은 전 세계 자산을 토큰화해서 단일시장으로 만들어서 공략하겠다고 치고 나가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기업의 디지털 자산화를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용범 단국대학교 교수 겸 한국블록체인학회 회장은 “일각에선 ‘블록체인 기술은 이제 다 나온 것이 아니냐’는 의문들도 있지만, 우린 아직 블록체인을 통해 발생할 변화를 알지 못한다”고 했다. 그는 “(예를 들어) 인터넷이 처음 나왔을 때 우리는 쿠팡이라는 서비스가 나올지 전혀 몰랐다”면서 “이제 (블록체인을 통해) 만들어지는 서비스도 우리가 생각하는대로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박 교수는 “크립토 이코노미는 블록체인 산업의 아주 일부분”이라며 "가상자산뿐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 자체를 이용한 여러 변화가 나타날 것이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신원 증명을 탈중앙화신원증명(DID)로 바꾸면 오히려 불편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지금도 플라스틱 신분증으로 충분히 신원 증명을 할 수 있고, 이는 이미 편리한 시스템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일례로 박 교수는 DID를 활용하면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전세 사기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박 교수는 “DID가 도입되면 익명성은 유지한 채 집주인의 신원을 추적해 그의 과거 행적이나 금융 상태 등에 대한 기초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면서 “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줄 만한 능력이 있는지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도입을 위해서는 국가가 기술 활용을 위한 규제를 풀어야 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력 양성과 사회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도 피력했다. 박 교수는 “AI든 블록체인이든 가상자산이든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동의가 없고,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쓸 수가 없다”면서 “미래 발전을 위해서는 우리 사회 자체가 변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투데이 / 이시온 기자

원문 :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5156